건강

치매 예방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식품 BEST 10

치매 예방과 기억력 향상을 위한 음식들에는 항산화제, 항염증제, 비타민, 미네랄, 오메가-3 지방산 등의 영양소를 포함한 음식들로 이 음식들을 섭취하면 치매 예방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어떤 음식들이 있을까요?

치매 예방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식품
치매 예방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식품

 

치매 예방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성분들

치매 예방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식품들이 왜 이런 효능을 내는 걸까요? 그 이유는 다음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서입니다.

 

① 항산화작용을 하는 성분

  • 활성 산소 중화: 산화 스트레스는 뇌세포의 손상 및 치매 발병과 관련이 있는데, 항산화제가 이를 억제하여 뇌세포손상을 방지합니다.
  • 신경 보호: 항산화제는 신경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줄여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 항산화작용을 하는 성분들 : 비타민C, 비타민 E, 셀레늄, 베타카로틴, 폴리페놀

② 항염증 작용을 하는 물질

  • 염증 억제: 만성 염증은 신경 손상과 치매와 관련이 있습니다. 항염증제는 염증을 억제하여 뇌의 염증 반응을 줄입니다.
  • 신경 보호: 염증을 감소시켜 신경 세포의 손상을 예방하고 뇌의 건강을 유지합니다.
  • 항염증작용을 하는 성분들 : 커큐민(강황성분), 오메가-3 지방산, 퀘르세틴, 라스베라트롤

③ 비타민

  • 비타민 E: 항산화 효과를 통해 뇌세포를 보호하고 산화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 비타민 B: 신경 전달물질의 합성을 지원하고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낮추어 뇌 혈관 건강을 유지합니다. 이는 치매와 관련된 신경 퇴행을 예방하는 데 기여합니다.

치매 예방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식품

④ 미네랄

  • 마그네슘: 신경 신호 전달을 돕고 뇌 기능을 지원하여 기억력과 인지 기능을 향상시킵니다.
  • 아연: 신경 보호 및 항염증 작용을 통해 뇌의 건강을 유지하고 신경 퇴행을 예방합니다​

⑤ 오메가-3 지방산

  • 세포막 구성: DHA는 신경 세포막의 주요 구성 요소로, 세포막의 유동성과 기능을 유지합니다.
  • 항염증 작용: EPA와 DHA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신경 손상을 줄여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춥니다.
  • 신경 전달: 오메가-3 지방산은 신경 전달물질의 생성과 기능을 지원하여 기억력과 학습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치매 예방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식품들

블루베리: 블루베리는 항산화제인 안토시아닌이 풍부하여 뇌를 보호하고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블루베리는 노화로 인한 기억력 저하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견과류: 특히 호두는 오메가-3 지방산과 항산화제가 풍부하여 뇌 건강에 좋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뇌 세포의 구조를 유지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녹차: 녹차는 카테킨과 같은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여 뇌 기능을 향상시키고 기억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카페인은 주의력과 집중력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연어: 연어와 같은 기름진 생선은 DHA와 EPA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여 뇌 기능을 개선하고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치매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브로콜리: 브로콜리는 비타민 K와 항산화제가 풍부하여 뇌의 인지 기능을 보호합니다. 또한, 항염증 특성이 있어 뇌 건강을 지원합니다.

강황: 강황의 주요 성분인 커큐민은 강력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있어 뇌 기능을 향상시키고 알츠하이머병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계란: 계란은 콜린이 풍부하여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생성을 돕습니다. 아세틸콜린은 기억력과 학습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크 초콜릿: 다크 초콜릿은 플라보노이드, 카페인, 항산화제가 풍부하여 기억력과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호박씨: 호박씨는 마그네슘, 철, 아연 및 구리와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여 뇌 기능을 지원하고 신경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보카도: 아보카도는 비타민 E와 단일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뇌에 충분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합니다.

 

아무리 내몸에 좋은 음식들이라도 약이라 생각하면 먹기 싫은 법이죠. 약이라 생각하고 의무적으로 드시는 것보단, 요리할 때 넣어드시거나, 눈에 잘 띄는 곳에 놔두고 오다가다 입이 심심할 때 드시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리에 넣어 드시는 재료로는 들기름만한 게 없죠. 들기름과 같은 식물성 기름에도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있는데요. 들기름, 카놀라유, 아마씨유에는 알파-리놀렌산(ALA)이 매우 풍부해 체내에서 EPA와 DHA로 전환되어 뇌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식물성 오메가-3 지방산 vs. 동물성 오메가-3 지방산

식물성 오메가-3 지방산중 알파-리놀렌산(ALA)은 체내에서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전환 과정의 효율성은 매우 낮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ALA의 약 5-10%만이 EPA로 전환되며, 그 중 일부만이 DHA로 전환됩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ALA의 DHA 전환 효율성이 0.1% 이하로 매우 낮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ALA의 DHA 전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뭐가 있을까요?

성별: 여성은 남성보다 ALA를 DHA로 전환하는 효율이 더 높습니다. 이는 에스트로겐과 같은 성호르몬이 Δ6-탈포화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전환 효율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연령: 나이가 들수록 ALA의 DHA 전환 효율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나이와 관련된 효소 활성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생각됩니다“.”

식단: 식단에서 오메가-6 지방산의 비율이 높을 경우, ALA의 DHA 전환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오메가-6와 오메가-3 지방산은 같은 효소를 사용하여 대사되므로, 오메가-6의 과잉 섭취는 경쟁적으로 ALA의 전환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 특정 유전적 변이로 인해 ALA의 전환 효율이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적 요인은 효소의 활성을 변화시켜 전환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호르몬 상태: 임신 중이거나 에스트로겐 수준이 높은 경우, DHA로의 전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태아의 발달을 위해 DHA가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ALA로 섭취하느니 차라리 DHA를 섭취하는 게 더 효율적이겠죠. 위에서 말한 것처럼, ALA를 충분히 섭취해도 체내에서 필요한 DHA와 EPA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생선이나 해산물과 같은 동물성 오메가-3 지방산을 직접 섭취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말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연어, 고등어처럼 붉은살 생선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단백질 보충, 치매예방 및 기억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당신의 뇌를 위한 영양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Chat Icon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