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12가지 비타민과 무기질 과잉증 및 결핍증: 알아야 할 증상과 해결법

비타민과 무기질은 우리의 신체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그러나 이들 영양소의 균형이 깨질 경우, 과잉증이나 결핍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12가지 주요 비타민과 무기질의 과잉증 및 결핍증,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2가지 비타민과 무기질 과잉증 및 결핍증
12가지 비타민과 무기질 과잉증 및 결핍증

 

균형잡힌 식사를 규칙적으로 섭취하면 결핍증, 과잉증이 나타날 일이 없겠지요.

하지만 바쁜 현대인들에게 식사를 제때 제대로 챙겨먹는 것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각 영양소별 급원식품을 제시하였으니, 결핍되지 않도록 챙겨드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1. 비타민 A

역할 : 비타민 A는 시력 유지, 면역 기능, 신경계 및 생식계 기능 유지, 피부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핍증 : 야맹증, 안구건조증, 성장 부진, 성기능 장애, 면역력 저하, 피부 건조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두통, 구토, 탈모, 간 비대, 피부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산부의 경우 태아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당근, 늙은 호박, 달걀, 간

성별, 연령별 비타민A 권장섭취량 (μg RAE/일)

연령(세)

남성

여성

1-2

250

250

3-5

300 300

6-8

450

400

9-11

600

550

12-14

750

650

15-18

850

650

19-29

800

700

30-49

800

700

50-64

750 600
65-74 700

600

75 이상

700

600

 

2. 비타민 C

역할 : 비타민 C는 항산화 작용을 하며, 콜라겐 합성, 면역 기능과 상처 치유에 도움을 줍니다.

결핍증 : 괴혈병, 피로, 식욕부진, 상처치유 지연, 체중감소, 면역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설사, 신장 결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신선한 과일과 채소

성별, 연령별 비타민C 권장섭취량(mg/일)

연령()

남성

여성

1-2

40 40
3-5 45

45

6-8

50 50
9-11 70

70

12-14

90 90
15-18 100

100

19-29

100 100
30-49 100

100

50-64

100 100
65-74 100

100

75 이상

100

100

 

3. 비타민 D

하루 30분정도의 햇빛을 쬐면 피부에서 비타민D를 하루 필요한 만큼 합성을 해주니, 굳이 음식으로 섭취하지 않아도 될 것 같지만, 의외로 한국여성들에게 비타민 D가 결핍된 분들이 많답니다. 썬크림의 영향일까요? ㅎㅎ

 

역할 : 비타민 D는 면역력 강화, 칼슘 흡수를 도와 뼈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결핍증 : 구루병, 골다공증, 면역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구토, 설사, 성장지연, 고칼슘혈증, 신장 손상, 심혈관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표고버섯, 비타민 D강화 우유, 생선간유

성별, 연령별 비타민D 권장섭취량(μg/일)

연령()

남성

여성

1-2

5 5
3-5 5

5

6-8

5 5
9-11 5

5

12-14

10 10
15-18 10

10

19-29

10 10
30-49 10

10

50-64

10 10
65-74 15

15

75 이상

15

15

 

 

4. 비타민 E

역할 : 비타민 E는 항산화제로서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면역 기능을 강화합니다.

결핍증 : 신경 손상, 용혈성 빈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두통, 피로, 오심, 근육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견과류, 씨앗류, 식물성 기름, 녹황색 채소 등

성별, 연령별 비타민E 권장섭취량(mg α-TE/일)

연령()

남성 여성
1-2 5

5

3-5

6 6
6-8 7

7

9-11

9 9
12-14 11

11

15-18

12 12
19-29 12

12

30-49

12 12
50-64 12

12

65-74

12 12
75 이상 12

12

 

 

5. 비타민 K

역할 : 비타민 K는 혈액 응고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결핍증 : 출혈 경향 증가, 뼈 건강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신생아의 경우 황달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성인의 경우 드물게 혈액 응고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케일, 시금치, 브로콜리와 같은 녹색 잎채소, 과일

성별, 연령별 비타민K 권장섭취량 (μg/일)

연령()

남성 여성
1-2 25

25

3-5

30 30
6-8 40

40

9-11

55 55
12-14 70

65

15-18

80 65
19-29 75

65

30-49

75 65
50-64 75

65

65-74

75 65
75 이상 75

65

 

6. 칼슘

역할 : 칼슘은 뼈와 치아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혈액응고, 신경 전달과 근육 수축에도 필요합니다.

결핍증 : 골다공증, 골격손실 문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신장 결석, 고칼슘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우유 및 유제품, 녹색 잎채소, 강화된 식품 등

성별, 연령별 칼슘 권장섭취량 (mg/)

연령()

남성 여성
1-2 500

500

3-5

600 600
6-8 700

700

9-11

900 800
12-14 1000

900

15-18

1000 900
19-29 800

700

30-49

800 700
50-64 800

700

65-74

800 700
75 이상 800

700

 

 

7. 철분

역할 : 철분은 혈액 내 산소 운반을 돕는 헤모글로빈의 중요한 구성성분입니다.

결핍증 : 빈혈, 피로, 허약, 특히 어린이에게 결핍시 성장 지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혈색소증, 당뇨, 심장 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붉은 고기, 콩류, 시금치 등

성별, 연령별 철분 권장섭취량(mg/일)

연령()

남성 여성
1-2 5

5

3-5

7 7
6-8

10

10

9-11

10 10
12-14 13

14

15-18

14 14
19-29 10

14

30-49

10 14
50-64 10

10

65-74

10 10
75 이상 10

10

 

8. 마그네슘

역할 : 마그네슘은 신경과 심장 근육 기능, 골격 치아 및 효소의 구성성분으로 작용합니다.

결핍증 : 허약, 근육통, 신경장애, 심장 기능 약화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콩팥기능에 이상이 있을 때 허약증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견과류, 씨앗류, 녹색 잎채소, 통곡류 등

성별, 연령별 마그네슘 권장섭취량(mg/일)

연령()

남성 여성
1-2 80

80

3-5

100 100
6-8 130

130

9-11

240 210
12-14 370

310

15-18

410 360
19-29 340

280

30-49

340 280
50-64 340

280

65-74

340 280
75 이상 340

280

 

 

9. 아연

역할 : 아연은 면역 기능, 단백질 합성, 세포 분열, 성장에 필수적입니다.

결핍증 : 식욕 저하, 성장 부진 상처 치유 지연, 미각 및 후각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면역 기능 억제, 구리 결핍, 위장 장애, HDL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해산물, 붉은 고기, 우유, 요구르트 등

성별, 연령별 아연 권장섭취량(mg/일)

연령()

남성 여성
1-2 3

3

3-5

4 4
6-8 5

5

9-11

7 7
12-14 9

8

15-18

9 8
19-29 10

7

30-49

10 7
50-64 10

7

65-74

10 7
75 이상 10

7

아연의 효능
아연의 효능

 

10. 요오드

역할 :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의 필수 구성 요소로, 신진대사 조절에 중요합니다.

결핍증 : 갑상선종, 갑상선 기능 저하증, 체중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해조류, 해산물

성별, 연령별 요오드 권장섭취량(μg/일)

연령()

남성 여성
1-2 90

90

3-5

120 120
6-8 150

150

9-11

150 150
12-14 150

150

15-18

150 150
19-29 150

150

30-49

150 150
50-64 150

150

65-74

150 150

75 이상

150 150

 

11. 셀레늄

역할 : 셀레늄은 항산화 작용합니다.

결핍증 : 근육 약화, 심장 문제, 면역력 저하, 성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구토, 설사, 혼수, 피부 및 신경계 손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견과류, 해산물

성별, 연령별 셀레늄 권장섭취량(μg/일)

연령()

남성 여성
1-2 20

20

3-5

30 30
6-8 40

40

9-11

50 50
12-14 60

60

15-18

70 60
19-29 60

60

30-49

60 60
50-64 60

60

65-74

60 60
75 이상 60

60

 

 

12. 칼륨

역할 : 칼륨은 신경 신호 전달, 글리코겐 형성, 삼투압조절에 필수적입니다.

결핍증 : 근육 경련, 불규칙한 심장 박동, 식욕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잉증 : 콩팥기능 이상시 심장박동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급원식품 : 바나나, 감자, 시금치 우유, 육류, 콩류, 오렌지 쥬스, 채소, 과일 등

성별, 연령별 칼륨 권장섭취량(mg/일)

연령()

남성 여성
1-2 2000

2000

3-5

2300 2300
6-8 2500

2500

9-11

3000 3000
12-14 3500

3500

15-18

3500 3500

19-29

3500 3500
30-49 3500

3500

50-64

3500 3500
65-74 3500

3500

75 이상

3500

3500

 

 

비타민과 무기질 결핍증 및 과잉증의 주요 증상 요약표

영양소

결핍증 증상 과잉증 증상

급원식품

비타민 A

야맹증, 면역력 저하 간 손상, 피부 변색

당근, 늙은 호박, 달걀, 간

비타민 C

괴혈병, 피로 위장 장애, 신장 결석

신선한 과일과 채소

비타민 D

구루병, 골다공증 고칼슘혈증, 신장 손상

표고버섯, 비타민 D강화 우유, 생선간유

비타민 E

신경 손상, 용혈성 빈혈 두통, 피로, 오심, 근육저하 등

견과류, 씨앗류, 식물성 기름, 녹황색 채소 등

비타민 K 출혈 경향 증가 황달 (신생아), 혈액 응고 이상 녹색 잎채소, 과일

칼슘

골다공증, 골격손실 신장 결석, 고칼슘혈증

우유 및 유제품, 녹색 잎채소, 강화된 식품 등

철분

빈혈, 피로 혈색소증, 당뇨, 심장 질환

붉은 고기, 콩류, 시금치 등

마그네슘

허약, 근육통, 신경장애, 심장 기능 약화 콩팥기능에 이상이 있을 때 허약증세

견과류, 씨앗류, 녹색 잎채소, 통곡류 등

아연

식욕 저하, 성장 부진 상처 치유 지연, 미각 및 후각 감소 면역 억제, 위장 장애

해산물, 붉은 고기, 우유, 요구르트 등

요오드

갑상선종, 체중 증가 갑상선 기능 항진증

해조류, 해산물

셀레늄

근육 약화, 면역력 저하 구토, 설사, 혼수, 피부 및 신경계 손상

견과류, 해산물

칼륨

근육 경련, 불규칙한 심장 박동, 식욕저하 콩팥기능 이상시 심장박동이 느려짐

바나나, 감자, 시금치 우유, 육류, 콩류, 오렌지 쥬스, 채소, 과일 등

 

결론

비타민과 무기질의 적절한 섭취는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과도하거나 부족한 섭취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이러한 영양소를 적정량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필요시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영양소 섭취를 조절하세요.

 

참고문헌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Vitamin and Mineral Requirements in Human Nutrition.WHO.

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n.d.). The Nutrition Source: Vitamins and Minerals.

Mayo Clinic. (2023).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What Clinicians Need to Know.

보건복지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영양제 복용 시간의 중요성: 최적의 효과를 위한 타이밍 best 5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Chat Icon
error: Content is protected !!